CH2.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계층
 2-1. 이더넷 : 

   이더넷 :    다양한 통신 매체의 규격들, 송수신되는 프레임 형태와 프레임을 주고받는 방법 등을 정의한 네트워크 기술

   IEEE 802.3  :  이더넷 관련 표준 규격들의 집합으로, 이더넷 표준에 따라 지원되는 통신매체의 종류와 전송 속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.
  이더넷 프레임 :프리앰블, 수신지 MAC주소 , 송진지 MAC 주소 타입/길이, 데이터,FC로 구성

  MAC 주소: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마다 부여되는 물리적 주소


 2-2. NIC와 케이블 

 NIC : 호스트와 통신 매체 사이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담당하는네트워크 장비

 트위스티드 페어 케이블 : 구리선을 통해 전기 신호를 주고받는 유선통신 매체, 브레이드 실드 혹은 포일 실드로 감싸 노이즈로부터 구리 선을 보호할수 있습니다.

 

 광섬유 케이블 : 광섬유를 통해 광신호를 주고받는 유선 통신 매체입니다. 코어의 지름에 따라 싱글,멀티로 나뉩니다.

 2-3. 허브

 허브 : 여러 대의 호스트를 연결할 수 있는 물리 계층의 장비, 전달받은 신호를 다른 모든 포트로 내보내며 반이중 모드로 통신 

 반이중 : 모드는 데이터를 한 번에 한 방향으로만 전송할 수 있는 통신 방식이고 전이중 모드는 동시에 양방향으로 전송할 수 있는 통신방식

 콜리전 도메인 : 충돌 발생 가능성이 있는 영역을 의미합니다. 허브에 연결된 호스트 전체가 코릴전 도메인에 속합니다.

 CSMA/CD : 반이중 이더넷 네트워크의 충돌 방지 트포토콜 입니다.

 2-4. 스위치

 스위치 : 포트별로 코릴전 도메인을 나누며 전이중 모드 통신을 지원하는 데이터 링크 계층의 장비입니다. MAC 주소 테이블로 MAC 주소를 학습에 우너하는 포트로 패킷으 포워딩하고 원치않는 포트는 필터링 할 수 있습니다.

VLAN : 스위치로 만들 수 있는 가상의 LAN 입니다. 포트로 기반 VLAN MAC 기반 VLAN 이 있습니다.



ch2 에서는 일상과 업무에서 종종 접할수 있었던 장비들이 나온다. 어렴풋이 예상하고 있던 내용들을 이해할수 있었다.

2주차 숙제:

 

숙제 1. ㄱ:프리앵블,  ㄴ:송신지 MAC주소 ㄷ:FCS

 

 

숙제 2. CS  : 캐리어 감지

CS (Carrier Sense) :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반이중 이더넷 네트워크에서는 메시지를 보내기 전에 현재 네트워크상에서 전송 중인 것이 있는지를 먼저 확인합니다.

 

 ,  MA (Multiple Access) :때로는 캐리어 감지를 하는 데도 두 개 이상의 호스트가 부득이하게 동시에 네트워클ㄹ 사용하려 할때가 있습니다. 복수의 호스트가 네트워크에 접근하려는 상황

 

 , CD (Collision Detection) : 출돌을 감지하면 전송이 중단되고, 충돌을 검출한 호스트는 다른 이들에게 충돌이 발생했음을 알리고자 잼신호를 보냅니다.

+ Recent posts